반응형

Routing

네이버 지식백과에 '데이터 통신에서 어드레스 정보를 기준으로 정보를 발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동작'으로 기재되어 있다.

쉽게 말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여러가지 경로 중 최적의 경로를 찾아 설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Routing Protocol vs Routed Protocol

1. Routed Protocol

- Router가 Routing 해주는 대상을 뜻한다.

- 종류: TCP/IP, AppleTalk 등

2. Routing Protocol

- Routed Protocol에게 최적화된 경로를 안내하는(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 종류: RIP, IGRP, OSPF 등

 

Distance Vector Algorithm

Distance(거리)와 Vector(방향)만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라우팅 알고리즘을 말하며,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 거리와 방향만을 저장해 놓는다.

주위 Router와 일정 시간마다 Routing Table을 교환하여 Routing Table을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하게되고, Routing Table의 변화가 생길 경우, 모든 라우터가 이 변화를 알게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Convergence Time이 길다.)

 

Link State Algorithm

Router가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를 저장하고 있다.

SPF(Shortest Path Fast) Algorithm을 이용하며, SPF Tree를 만들고, 해당 트리 정보를 이용해 Routing Table을 만든다.

Routing Table 교환이 자주 발생하지 않으며, 교환 시에도 변화가 있는 내용만 교환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트래픽 발생이 적다. 

하지만, Router가 모든 Routing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리소스 소모가 비교적 크다.

 


# 참고

네트워크(기본) 파트는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을 읽으며 필요한 부분만 정리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